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탄소중립 R&D에 1521억 원 융자 지원…14개 기업 선정!

     

     

    산업통상자원부가 온실가스 감축 시설과 R&D 투자기업에 총 1521억 원의 융자 지원을 추진합니다. 이번 지원은 탄소중립 실현과 민간투자 촉진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시멘트·반도체·수소 등 산업 분야에서 총 3930억 원의 투자가 기대됩니다.

    구분 내용 금액
    지원 대상 탄소중립 전환 기업 14개 (중소 10, 중견 1, 대기업 3) -
    융자 규모 최대 기업당 357억 원, 금리 1.3% 1521억 원
    기대 투자 시멘트, 반도체, 수소, CCUS 등 3930억 원
    탄소 감축 효과 연간 온실가스 감축 1074만 톤
    누적 실적 (2022~) 총 84건, 민간유도 투자 2.7조 원 융자 6540억 원

    14개 기업에 최대 357억 원까지, 1.3% 금리 혜택

    산업부는 올해 탄소중립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사업을 통해 총 14개 기업을 선정했습니다. 이들 기업은 시중은행을 통해 1.3%의 낮은 금리로 최대 357억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R&D 투자를 촉진하는 그린 금융

    이 사업은 단순한 융자를 넘어 탄소 저감 효과가 입증된 설비 투자CCUS(탄소포집·활용·저장) 등 혁신기술 연구개발에도 적용됩니다. 특히 시멘트와 반도체 같은 산업계부터 수소, 에너지 분야까지 범산업적 투자 유도가 이뤄진 점이 특징입니다.

    2027년까지 누적 3930억 원 민간 투자 기대

    정부의 융자 지원은 마중물 역할을 하며 탄소중립 전환에 민간기업이 주도적으로 나서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업만으로도 민간에서 총 3930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GX(그린전환) 위한 전방위 지원도 병행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기업의 탄소중립 투자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경쟁력"이라고 밝히며, 융자뿐 아니라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까지 정부가 그린 전환을 다각도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에게 의미는?

    이번 융자 지원은 단순한 재정 정책을 넘어,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구조적 투자입니다. 경제 위기 속에서도 환경과 기술 혁신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정부의 전략적 대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