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스마트항만 310억 원 투입…4년간 자동화 핵심기술 국산화 착수

    해양수산부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간 310억 원을 투자해 '한국형 스마트항만' 구축을 위한 핵심 자동화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합니다. 하역, 이동, 보관, 반출까지 전 과정의 자동화를 목표로 국내 기술 중심의 항만산업 육성에 나섭니다.

    구분 내용 금액
    사업명 스마트항만 핵심기술 개발 R&D 310억 원
    사업기간 2025년~2028년 (4년) -
    개발내용 자동하역장비·무인이송장비 핵심부품,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
    도입목표 국산화 기술 실증 → 국내 스마트항만 적용 -
    기대효과 물류 자동화, 산업 경쟁력 제고, 공급망 안정 -

    한국형 스마트항만, 국산 기술로 구축 추진

    스마트항만이란 하역부터 항만 내부 이동, 보관, 반출까지 물류 전 과정을 자동화한 항만을 의미합니다. 이미 부산 신항에서는 완전자동화 터미널이 가동 중이며, 이를 국내 전역으로 확산하기 위한 기반 기술 개발이 시작된 것입니다.

    핵심 자동화 기술 R&D 집중 투자

    이번 310억 원 규모의 사업은 ▲자동하역장비, ▲무인이송장비의 핵심 부품 국산화 및 ▲자율주행 제어·운영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둡니다. 단순 기술개발을 넘어 실제 항만 현장 도입까지 실증하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국산 자동화 기술로 스마트 물류 시대 대응

    세계적으로 스마트 물류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가운데, 국산 기술로 자립 기반을 마련하고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것은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기술개발은 산업 안전성 향상과 물류 효율 극대화를 동시에 추구합니다.

    정부, 산업 육성과 기술 자립 전폭 지원 방침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스마트항만 기술은 지속가능한 항만산업의 핵심"이라며, "기술개발과 산업 생태계 육성을 병행하여 국내 항만산업의 미래를 준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에게 의미는?

    이번 사업은 단순 항만 자동화가 아닌 국가 물류 체계 혁신의 첫걸음입니다. 자율주행·무인장비 기술의 개발은 일자리 변화와 함께 첨단 물류 시대에 대응하는 산업 기반 강화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