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조기 추진…8월 관세 전까지 합의 시도
한미 정상회담 조기 추진…8월 관세 전까지 합의 시도
국가안보실은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미국 측에 제안하며, 주요 경제·외교 현안에 대한 협의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8월 관세 부과 전까지 협의 마무리를 목표로 한미 양측은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분야 | 주요 내용 | 시점 |
---|---|---|
정상회담 |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 제안 | 2025년 7월 |
경제 협상 | 8월 1일 전 관세 협의 추진 | 7월~8월 |
외교 관계 | 70년 동맹 기반 실용외교 지속 | 지속 |
산업 협력 | 조선업 등 분야별 실질 협력 추진 | 향후 |
한미 정상회담 제안…“협의 통해 상호호혜 추구”
7일(현지시간),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안보보좌관과의 회동을 통해 조속한 정상회담 추진 의사를 전달했습니다. 한국 측은 특히 한미 동맹의 정신에 따라 "더 강한 연대를 위한 고위급 협의"를 강조했습니다.
8월 1일 관세 부과 전 협의 마무리 추진
미국 측은 "한국을 포함한 관세 서한이 이미 발송됐지만, 실제 관세 적용까지는 시간이 남아 있다"고 설명하며, 양국 간 협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8월 이전까지 조율을 통한 합의 도출을 목표로 긴밀히 협력해나갈 계획입니다.
한미 동맹 70년…조선업 등 산업 협력도 강화
이번 협의에서는 경제뿐 아니라 조선업 분야의 상호호혜적 협력에 대해서도 논의됐습니다. 양측은 민간·정부 역량을 모아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데 방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실무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한미동맹은 실용외교의 핵심 기반”
우리 측은 새 정부의 외교 방향이 실용주의에 입각한 ‘강한 동맹’임을 강조하며,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에서도 안보·경제·산업 전방위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국민에게 의미 있는 변화는?
8월 1일로 예정된 관세 부과를 앞두고,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고 수출기업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선, 반도체 등 주요 산업 협력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