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농식품부, 축산농가 폭염 피해 최소화에 총력! 풍수해 감염병 예방은 필수!

    정책 바로보기 코너에서는 언론에 보도된 정책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실생활에 유용한 정책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농식품부의 축산농가 폭염 피해 최소화 노력풍수해 감염병 예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농식품부 "축산농가 폭염 피해 최소화에 최선"

    최근 언론 보도에서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 예산이 매년 삭감되어 폭염에 취약한 가축들이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축산농가의 폭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축사시설 현대화사업: 2009년부터 추진해왔지만, 지난 5년간 실집행률이 저조하여 예산이 감액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가축질병 확산으로 인한 축사 신축 및 개축, 주요 기자재나 설비 설치 작업 중지 등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습니다.
    • 축사시설 개선사업: 축사 신축, 개축, 냉난방 설비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오히려 최근 예산이 증액되었습니다. 2019년에는 선풍기, 환풍기, 송풍팬 등 폭염 피해 예방에 필요한 기자재를 지원 품목에 추가했으며, 최근 제2회 추경에 산란계장 등의 시설 개선에 필요한 224억 원을 증액하는 등 관련 예산 확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폭염 대응 가축 피해 최소화 TF: 정부는 이 TF 운영을 통해 특별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가축 적정 사육밀도를 초과하거나 최근 3년간 폭염 피해 이력 등이 있는 고위험 농가 360호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과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2. '풍수해 감염병' 이렇게 예방하세요!

    장마와 폭우로 인해 발생하는 풍수해는 각종 감염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천 범람, 침수 등으로 인해 병원균, 모기, 파리, 쥐 등 감염 매개체의 서식 환경이 변화하고 위생 환경이 취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발생 가능한 감염병과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등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감염됩니다.
      • 예방: 오염된 물이 닿거나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은 섭취하지 않고, 끓인 물이나 생수 등 안전한 물을 마십니다.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고, 채소와 과일은 깨끗한 물에 충분히 씻어 먹습니다.
    • 접촉성 피부염, 렙토스피라증: 감염된 동물의 소변 등을 통해 감염됩니다.
      • 예방: 침수 지역에서 작업할 경우 방수 처리된 보호복, 장화, 고무장갑을 착용합니다. 물에 노출된 피부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작업 중 오염된 상처가 생기거나 작업 후 발열, 근육통 등 증상이 있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 안과 감염병: 유행성 결막염을 조심해야 합니다.
      • 예방: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을 함께 사용하지 않고, 눈에 부종, 출혈, 이물감 등이 있을 경우 손으로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모기 매개 감염병: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 감염병 종류 | 예방 방법 지금까지 농식품부의 축산농가 폭염 피해 최소화 노력과 풍수해 감염병 예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철저한 대비와 예방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